맨위로가기

제1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선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1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선거는 1948년, 분단된 한반도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수립을 위해 실시된 선거이다. 북한 지역에서는 8월 25일, 99.97%의 높은 투표율 속에 진행되었으며, 조선로동당을 중심으로 하는 조국전선 후보들이 압도적인 지지를 받았다. 남한 지역에서는 비밀 선거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남조선로동당 등 좌파 정당이 주도하는 가운데 1,080명의 대표자를 선출하여, 이들이 해주에서 360명의 대의원을 선출했다. 선거 결과, 총 572석의 대의원 중 북조선로동당이 157석으로 가장 많은 의석을 차지했으며, 이후 최고인민회의가 구성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8년 선거 - 1948년 남아프리카 연방 총선거
    1948년 남아프리카 연방 총선거는 국민당의 승리로 아파르트헤이트가 공식화된 중요한 선거로, 백인 유권자들의 지지, 경제적 요인, 선거구 획정 방식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국민당이 과반 의석을 차지하고 아파르트헤이트 시대를 열었다.
  • 1948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북조선로동당 제2차 대회
    북조선로동당 제2차 대회는 1948년 3월에 개최되어 당의 주요 정책 방향과 간부 인선을 결정하고 김일성의 사업 보고 발표와 국내파 비판, 그리고 김두봉의 당 위원장 재선출이 이루어졌다.
  • 1948년 8월 - 대한민국 정부 수립
    대한민국 정부 수립은 광복 이후 미소공동위원회 결렬, 5·10 총선거 등을 거쳐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가 공식적으로 수립된 과정으로, 이 과정에서 사회적 혼란과 갈등이 발생하기도 했다.
  • 1948년 8월 - 1948년 하계 올림픽
    1948년 하계 올림픽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12년 만에 런던에서 개최된 제14회 하계 올림픽으로, "긴축 올림픽"이라고도 불리며 독일과 일본은 참가하지 못했고 대한민국은 처음으로 참가하여 동메달을 획득했다.
제1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선거
지도 정보
기본 정보
국가북한
선거 유형의회
선거일1948년 8월 25일
다음 선거1957년 북한 최고인민회의 선거
다음 선거 연도1957년
선출 의석수572석
투표율98.49%
선거 결과
총 의석572석
김일성
수상김일성
선출 후 수상김일성
소속 정당조국통일민주주의전선
정당별 결과
북조선로동당
북조선로동당 지도자김일성
북조선로동당 의석수157석
북조선민주당
북조선민주당 지도자최용건
북조선민주당 의석수35석
북조선천도교청우당
북조선천도교청우당 지도자김달현
북조선천도교청우당 의석수35석
의장허헌
의장 소속 정당남조선로동당
기타 정보
관련 자료북한헌법(1948년)

2. 배경

1945년 해방 이후 한반도는 미국과 소련의 신탁통치 아래 놓이게 되었다. 1948년 6월 29일부터 7월 5일까지 평양에서 열린 제2차 전조선제정당,사회단체연석회의에서는 1차 협상의 성과를 재확인하고, 남북 총선거를 실시하여 남북조선 대표자들로 조선 중앙정부를 수립할 것을 결정하였다.[2] 그러나, 남북 간의 이념 대립과 미소 간의 냉전 심화로 인해 남북한은 각각 다른 길을 걷게 되었다.

남한에서는 유엔의 후원 하에 미군정이 점령한 가운데 1948년 5월 10일 유엔한국임시위원단의 감독 하에 제헌 국회의원 선거가 실시되었다.[2]

북한에서는 1948년 7월 9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수립 준비의 일환으로 제5차 북조선 최고인민회의에서 선거가 공표되었다.[2] 남한에서는 '특수한' 사정을 고려하여 이중 비밀 지하 선거를 실시하기로 결정하였다.[2] 북한에서는 1948년 8월 5일까지 후보자 등록이 진행되었으며, 212개 선거구에 228명의 후보자가 등록되었다.[3] 228명의 후보자 중 212명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통일민주전선에서 추천되었고, 16명은 회의에서 유권자들이 추천한 후보였다.[3]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통일민주전선 후보자는 북조선노동당( 조선노동당의 전신 중 하나) 102명, 사회민주당 35명, 천도교청우당 35명, 무소속 40명으로 구성되었다.[6] 228명의 후보자 중 여성은 34명이었다.[3]

2. 1. 남북 협상과 분단

1948년 6월 29일부터 7월 5일까지 평양에서 열린 제2차 전조선제정당,사회단체연석회의에서는 1차 협상의 성과를 재확인하고, 남북 총선거를 실시하여 남북조선 대표자들로 조선 중앙정부를 수립할 것을 결정하였다.[2] 그러나, 남북 간의 이념 대립과 미소 간의 냉전 심화로 인해 남북한은 각각 다른 길을 걷게 되었다. 남한에서는 유엔의 후원 하에 미군정이 점령한 가운데 1948년 5월 10일 유엔한국임시위원단의 감독 하에 제헌 국회의원 선거가 실시되었다.[2]

북한에서는 1948년 7월 9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수립 준비의 일환으로 제5차 북조선 최고인민회의에서 선거가 공표되었다.[2] 남한에서는 '특수한' 사정을 고려하여 이중 비밀 지하 선거를 실시하기로 결정하였다.[2] 북한에서는 1948년 8월 5일까지 후보자 등록이 진행되었으며, 212개 선거구에 228명의 후보자가 등록되었다.[3] 228명의 후보자 중 212명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통일민주전선에서 추천되었고, 16명은 회의에서 유권자들이 추천한 후보였다.[3]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통일민주전선 후보자는 북조선노동당(조선노동당의 전신 중 하나) 102명, 사회민주당 35명, 천도교청우당 35명, 무소속 40명으로 구성되었다.[6] 228명의 후보자 중 여성은 34명이었다.[3]

3. 선거

3. 1. 북한 지역 선거

1948년 8월 25일, 북한 지역에서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선거가 실시되었다.[6] 투표는 오전 6시에 시작하여 6시간 만인 12시에 마감되었으며, 99.97%의 투표율을 기록했다.[6] 212개 선거구에 1217명의 후보가 출마했으며, 이 중 대부분은 북조선민주주의민족전선의 단일 후보였다.[6] 15개 지역에서는 복수 후보가 출마했으며, 투표는 찬반 투표 방식으로 진행되었다.[6] 유권자들은 212명의 공동 후보에게 98.49%의 찬성표를 던져, 북한 지역의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212명이 당선되었다.[6]

정당 및 연합득표수의석수
조국전선4,456,621212
조선로동당102
천도교청우당35
조선민주당35
무소속40
기타 후보68,3410
총 유권자 수4,526,065


3. 2. 남한 지역 선거

남한 지역에서는 공개 선거가 불가능한 상황이었기 때문에 비밀 선거 방식으로 진행되었다.[10] 7월 중순부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을 선거할 대표자들을 선출하는 '예비선거'가 시작되었으며, 남조선로동당을 비롯한 좌파 정당들이 연합하여 만든 '조선최고인민회의 남조선대의원선거지도위원회'가 선거 관리를 담당했다.[10] 선거운동원들이 후보자 이름이 적힌 종이를 들고 다니며 찬성하는 사람들의 도장이나 손도장을 받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는데, 비밀 선거 특성상 공정성과 대표성에 대한 논란이 있었다.[10]

이를 통해 선출된 1,080명의 '남조선 대표자'들은[10] 8월 23일부터 25일까지 해주에서 '조선최고인민회의 대의원 선거를 위한 남조선 인민 대표자대회'를 개최했다.[10] 북한 정부는 한국에서 1,080명의 인민대표를 선출하는 선거에 유권자의 78%가 참여했다고 주장했다.[2] 이 회의에는 1,080명 중 1,002명이 참석했으며,[2] 이들은 5만 명당 1명 꼴로 360명의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을 선출했다.[2]

정당의석
조국전선360
총투표수1002
선거인수1080


3. 3. 선거 결과

북조선로동당이 157석으로 다수를 차지했으며, 북조선민주당북조선천도교청우당이 각각 35석, 민주독립당, 근로인민당, 인민공화당이 각각 20석을 차지하였다. 그 외 기타 정당에서 171석, 무소속 의원들이 114석을 획득하였다.[11]

정당의석 수[11]
북조선로동당157석
북조선민주당35석
북조선천도교청우당35석
민주독립당20석
근로인민당20석
인민공화당20석
기타 정당171석
무소속114석
합계572석


4. 정당별 의석 분포

wikitable

정당의석 수[11]
북조선로동당style="text-align: left; " 157석
북조선민주당style="text-align: left; " 35석
북조선천도교청우당style="text-align: left; " 35석
민주독립당style="text-align: left; " 20석
근로인민당style="text-align: left; " 20석
인민공화당style="text-align: left; " 20석
기타 정당style="text-align: left; " 171석
무소속style="text-align: left; " 114석
합계572석


5. 당선자 명단

제1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으로 선출된 인물은 다음과 같다.[12][13][7]


  • 이북 지역:
  • * 김일성, 김두봉, 허가이, 최룡건, 박정애, 김책, 최창익, 박일우, 홍명희, 김달현, 홍기주, 강량욱, 장시우, 태성수, 남일, 김제원, 김광준, 방학세, 오기섭, 김응률, 리병제, 김영환, 리청송, 김재록, 정신현, 김웅기, 김일, 권녕주, 김순일, 김필주, 림풍원, 리문환, 박훈일, 송봉욱, 김창록, 황태열, 오신남, 리숙려, 김만중, 리기영, 리병호, 정성업, 원만수, 조금성, 전숙자, 라서운, 윤히구, 서병수, 김병주, 정일룡, 강준삼, 최봉수, 허정숙, 박근모, 리보열, 최용달, 송태준, 김한중, 리용덕, 리종권, 한일무, 권병철, 한영규, 림택, 김찬, 한장호, 안시도, 리숙진, 리영, 주녕하, 신용복, 한양음, 박시운, 김수현, 채기남, 최관용, 리재영, 한도경, 김학종, 김렬, 최기배, 김한웅, 최전자, 김덕흥, 리창하, 한도겸, 윤상만, 오제영, 주만술, 김업돌, 주황섭, 리면후, 고광한, 리홍렬, 주창선, 김현국, 김민산, 박선옥, 라청송, 현승갑, 리동화, 허만수, 김욱빈, 고히만, 박보옥, 리붕남, 박용한, 김영수, 한설야, 강진건, 김정순, 장해우, 김태련, 리종완, 오옥별, 리원일, 장순명, 리진근, 허남히, 김도성, 박영성, 전중학, 강건, 김란주화

6. 평가 및 비판

6. 1. 절차적 문제점

6. 2. 민주주의와의 관계

7. 영향

8. 같이 보기

참조

[1] 서적 The Korean War 1950-1953 https://books.google[...] Fitzroy Dearborn 2021-11-07
[2] 웹사이트 http://db.history.go[...] 2019-10-05
[3] 웹사이트 http://waks.aks.ac.k[...] 2020-03-25
[4] 서적 Elections in Asia and the Pacific: A Data Handbook Oxford University Press
[5] 서적 North Korea Handbook Yonhap News Agency
[6] 웹사이트 https://monthly.chos[...] 2020-03-25
[7] 서적 Korean Communism, 1945–1980: A Reference Guide to the Political System The University Press of Hawaii
[8] 서적 North Korea election 1948 Fitzroy Dearborn
[9] 웹인용 북한헌법(1948년) http://www.ipa.re.kr[...] 2019-10-06
[10] 간행물 북한 현대사 역사문제연구소
[11] 서적 Elections in Asia and the Pacific: a data handbook, Volume II
[12] 웹인용 북한지역 조선최고인민회의 제1기 대의원 선거 https://db.history.g[...] 국사편찬위원회
[13] 웹인용 한국사데이터베이스 https://db.history.g[...] 국사편찬위원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